아이건강(15)
-
아기 접촉성피부염 원인 증상 치료
아기 접촉성피부염 접촉성 피부염은 자극성 물질에 피부가 닿았응 때 나타나게 된다. 자극적인 비누, 약물이나 음식, 울 섬유 등에 반복적으로 접촉했을 때 접촉성 피부염이 일어날 수 있다. 접촉성 피부염은 가려움이 적고 자극물질을 피해주면 증상이 사라진다. 접촉성피부염 원인 접촉성 피부염을 일으키는 가장 흔한 자극은 아기 자신이 흘린 침에 의한 것이다. 향료가 들어있는 치약,구강 청결제는 입 주위에 반점을 일으킬 수 있으며, 신발을 만들 때 쓰이는 접착제나 염료는 발가락 끝이나 발등에 염증을 일으킬 수 있다. 옥삼의 마찰에 의해서도 피부염이 일어나며, 니켈도금이나 귀금속이나 바지의 단추, 옻나무와 같은 식물,네오마이신 연고에 의해서도 접촉성 피부염이 생긴다. 접촉성피부염의 증상 접촉성 피부염의 증상은 자극 ..
2013.05.30 -
기저귀발진
기저귀를 사용하는 아이들에게서 흔히 발생하는 기저귀발진 오늘은 이 기저귀발진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기저귀발진 원인 가장큰 원인은 젖은 기저귀를 빨리 갈아주지 않았을때에 발생하게 됩니다. 특히 설사를 했을 경우 엉덩이가 젖은채로 있게되고 바로 기저귀를 갈아주지 못한다면 기저귀 발진이 생길 수 있습니다. 기저귀발진 증상 기저귀를 찬 부위의 피부가 붉어진것이 육안으로도 확인이 되며 피부가 거칠어지고 심한경우에는 진물이나 고름이 생기기도 합니다. 발진이 생긴 부위에 곰팡이가 자라게 되면 잘낫지 않고 증상도 심해지며 아이가 아파합니다. 엉덩이부위가 심하게 헌 경우에는 한달이상 증상이 지속되는 경우도 있지만 대개는 며칠안에 좋아집니다. 기저귀발진 치료 1.기저귀를 바로바로 갈아주고 아기의 엉덩이가 잘 마를..
2013.05.04 -
손가락 빠는 아이
항상 손가락을 빨고 있는 아이 아기가 손가락을 빠는 것은 10명중 9명 꼴로 아주 흔한 현상입니다. 이러한 습관은 아기의 마음을 가라앉혀 편안하게 하는데 효과가 있습니다. 어떤 아기들은 태어나기 전부터도 본능적으로 손가락을 빨기도 합니다. 손가락을 짜는 것은 정상적인 반사작용이며,정상적인 습관으로 여겨질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 습관이 너무 오래 지속되어 아이의 입 모양과 치아의 배열에 영향을 미치게 될 경우에는 걱정거리가 됩니다. 대부분의 아이들은 6~7재월경에 손가락 빨기를 그치지만 때로는 8살 정도까지 손가락을 빱니다. 5살 이후까지 손가락 빨기가 지속되면 입천장이나 치아배열 변화의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보통 5사리 이후에는 손가락 빨기의 심리적 원인을 찾아 치료해 주어야 합니다. 아이의 손가락 ..
2013.03.29 -
젖떼는 방법 모유 끊는 시기
어제 모유를 떼어야 하나요? 대략 생후 6개월까지는 꼭 모유를 먹이기를 권장하며 1년 정도 까지는 이유식과 함께 모유를 먹이는 것이 좋습니다. 그러나 부득이한 사정으로 모유를 못 벅이는 경우라도 생후 4개월까지는 꼭 먹이는 것이 좋습니다. 모유를 떼기 위해서는 젖병으로 먹이는 훈련을 해야합니다. 아기는 계속 젖을 먹으며 엄마와 무언의 대화를 해왔기 때문에 처음부터 젖병을 좋아하지는 않을 것입니다. 따라서 엄마보다 아빠나 다른 가족들이 먼저 젖병에 모유나 분유를 담아 아기에게 먹이도록 하고, 어느 정도 젖병에 익숙해진 후 엄마가 젖병으로 먹이는 것이 쉬운 훈련 방법입니다. 젖병을 쓰기 시작해도 아기를 많이 쓰다듬어주며 애정을 표현해서 피부접촉 감소에따른 불만을 해소해 주어야 합니다. 젖병으로 먹이기 시작한..
2013.03.22 -
신생아 황달 아기 피부가 노란색이에요
신생아 황달 생후 얼마 안 돼서 얼굴이나 가슴,배까지 피부가 노란 빛깔을 띠게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것을 "신생아 황달"이라고 하는데, 정상적인 신생아 에게도 자주 발생하며 특히 우리나라 아이들의 경우 황달이 조금 더 심한 편입니다. 모유가 원인이 되어 생기는 경우가 많은데, 이것은 모유가 간에서 만들어지는 노란 빛깔의 빌라루빈이 분해되지 못하게 방해해서 발생하므로 황달을 줄이기 위해서는 24~48시간 동안 모유 먹이기를 멈추는 것이 좋습니다. 그러나 황달때문에 모유를 완전히 끊어서는 안되며, 황달이 좋아지면 다시 먹여야 합니다. 드문 일이지만 태어나자마자 황달이 생기고,너무 빨리 증세가 심해지며, 다리까지 노랗게 변하는 경우, 또는 아기가 열이 있거나 기운이 없이 늘어지는 경우에는 세균 감염증이나 ..
2013.03.21 -
경련발작 경련의 응급조치
아이가 갑자기 경련을 일으키면 너무나 당혹스러워 정신이 없어지게 된다. 우선은 적절한 응급조치를 취해야 한다. 경련의 원인에 관계없이 응급조치 방법은 거의 비슷하다. 다행히 대부분의 경련은 지속시간이 짧고 저절로 진정이 된다. 열성 경련의 경우에는 경련 자체가 체온을 떨어뜨리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곧 다시 열이나며 결련을 일으킬 수 잇으므로 열이 있는 경우에는 미지근한 물수건으로 팔,다리,겨드랑이를 닦아 열을 내려주며 빨리 해열제를 벅이거나 좌약을 쓰는 것이 좋다. 경련 시간이 길어지면 빨리 병원으로 옯기고 전문적인 치료를 받아야 한다. 경련 발작 환자의 응급조치 1.환자의 주변에 위험한 물건이 있으면 치워 둔다. 2.옷을 헐렁하게 풀어준다. 3.호흡을 잘하게 하기위해 침이 흐르는 것을 닦아준다. 4...
2013.03.14